심의 민주주의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민주주의 모델 2 - 심의 민주주의, 합의제 민주주의 1. 심의 민주주의 대화와 토론, 심의를 통해 시민들의 선호가 변화하면서 사회문제에 대한 공공의 합의를 강조하는 심의 민주주의가 등장했습니다. 심의 민주주의는 정치적 대표들자들이 의사결정을 독점하는 대의 민주주의와 달리 시민들과 대표들이 이성적 성찰과 판단에 근거하여 자신들의 선호, 관점을 타인과 토론하는 과정에서 심의적 전환이 일어나서 공공의 합의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심의 민주주의는 특히 풀뿌리 단위에서 조직화되지 않은 시민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데에 유용하다고 평가됩니다. 이는 심의 민주주의가 정치의 목표를 투표와 개인의 선택으로부터 가능한 모든 사람들의 토론에 의한 결정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합니다. 이것이 제도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요구됩니다. 첫째, 심의 민.. 이전 1 다음